겨울철 드리퍼의 선택

보통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드리퍼는 칼리타 3구입니다. 아랫부분에 구멍이 3개 나 있고 도자기로 된 형태가 많습니다. 아무래도 플라스틱 보다 세라믹 소재가 더 위생적이라 느끼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오늘은 칼리타가 아닌 추출 레시피 적용이 용이한 ‘하리오V60’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하리오V60 플라스틱 드리퍼
하리오V60 메탈 드리퍼
하리오V60 유리 드리퍼

제가 자주 사용하는 드리퍼는 하리오V60 유리 드리퍼입니다.
다른 재질에 비해 향미 표현이 좋고 산미도 잘 표현하는 편이라 주력으로 사용합니다.

날이 쌀쌀해지고 겨울이 가까워지면 한가지 변수가 발생합니다.
기온이 낮아지면서 드리퍼의 재질에 따라 수온의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유리 드리퍼의 특성상 이것을 데우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메탈에 비해 더 오랜시간 린싱을 해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필터가 충분히 젖고서도 두 세번 정도 더 드리퍼를 적셔 충분히 온도를 끌어올려 줍니다.

린싱 한 후 온도 측정

린싱을 하면 대략 드리퍼의 온도는 80도 가까이 됩니다. 이 상태에서 드리퍼에 커피를 부어 주고 추출을 시작합니다.

드립 할때 온도 변화

물은 분명히 92도가 넘는네 드리퍼 내에 꽂힌 온도계를 보면 83~85도 전후로 측정됩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상식과는 달리 실제 커피가 추출되는 실제 온도는 85도 전후가 됩니다.

만일 여러분이 88도 정도의 온도로 드립을 시작했다면 말할것도 없이 더 낮은 온도에서 추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배전도가 약한 산미가 좋은 원두라면 과소 추출이 일어나기 쉽죠.

그래서 겨울철에는 유리 드리퍼를 사용할 경우 예열을 충분히 해주거나 플라스틱 드리퍼로 바꿔 주면 열 손실이 덜 하게 됩니다.

프라스틱 드리퍼의 온도측정

플라스틱 드리퍼는 예열시간이 적더라도 열손실에 유리함이 있습니다. 실제로 2~3도정도 높은 온도를 유지해 줍니다. 다만 열 보전성이 떨어지므로 물 붇는 간격이 길어지면 유리보다 빨리 식게 됩니다.

위의 실험은 같은 원두와 같은 레시피, 같은 분쇄도로 진행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프라스틱 드리퍼의 추출이 조금더 잘 되었고 바디감과 풍미가 더 잘 살아났습니다.
물론 재질에 따른 맛 차이도 분명 있겠지만 우리가 잘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계절과 온도의 관계에 대해 느껴 볼 수 있는 간단한 실험이었습니다.^^

가끔 플라스틱이라 뭔가 환경호르몬이 나올까 걱정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플라스틱 드리퍼는 그런 문제가 없는 소재를 사용합니다. 또 전문 바리스타 중엔 플라스틱 드리퍼를 애용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참에 한번 바꿔서 사용해 보시는것도~

코멘트 남기기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